LOGIN 로그인
신인수 유학원의 홈페이지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이탕이 조약 (The Treaty of Waitangi) > 뉴질랜드이야기

뉴질랜드이야기News & Update

뉴스 & 업데이트News & Update

뉴질랜드이야기

100% 직영지사에서 전해드리는 생생한 뉴질랜드 이야기

와이탕이 조약 (The Treaty of Waitangi)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iS신인수유학원

작성일작성일 21-02-05

조회조회 5,008

본문

bd1cca7bb259694afafc134b774d7f64_1612513248_5659.jpg
이미지 출처 : waitangi.org.nz 


다가오는 2월 6일 토요일 뉴질랜드의 와이탕이 조약 (The Treaty of Waitangi)을 기념하는 국경일인 와이탕이 기념일 (Waitangi Day)을 맞이해 와이탕이 조약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와이탕이 조약 (The Treaty of Waitangi)

와이탕이 조약 (The Treaty of Waitangi)은 1840년 2월 6일 영국의 윌리엄 홉슨 (William Hobson) 대령 및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영국인 거주자들과 마오리 부족장들이 Bay of Islands의 와이탕이에서 뉴질랜드의 주권 등에 관해 서명한 조약 문서를 말합니다.
이는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서로, 뉴질랜드의 역사 및 헌법과 관련해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문서가 되었으며,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뉴질랜드 정부와 마오리족 사이의 정치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의 세계기록유산이기도 한 이 조약 문서는 1997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1830년 이후 뉴질랜드로 이주하는 유럽인들이 급격히 늘어났으며, 1840년 즈음에는 2,000명이 넘는 유럽인이 뉴질랜드에 정착하면서 마오리족과 유럽인들 간의 크고 작은 분쟁이 끊이지 않고 일어나게 됩니다. 유럽이주민과 마오리족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은 토지를 둘러싸고 점점 심각해지며 프랑스를 견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영국은 Bay of Islands의 와이탕이에서 뉴질랜드의 주권을 영국에 이양하고, 마오리인의 토지 소유를 계속 인정하지만 이후 토지 매각은 영국 정부에게만 하며, 마오리인은 앞으로 영국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인정받는다는 3가지 조항으로 이루어진 와이탕이 조약을 맺게 됩니다.

와이탕이 조약의 3개 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마오리 부족장은 영국 여왕에게 주권을 이양한다.
② 부족장의 토지와 자원 소유권은 보장한다. 단, 모든 거래의 당사자는 여왕이다.
③ 마오리 부족 모두 영국 시민과 같은 권리와 특혜를 받는다.

bd1cca7bb259694afafc134b774d7f64_1612513882_3904.jpg
와이탕이 조약 문서

조약일인 1840년 2월 6일에는 뉴질랜드 부족 연합회의 부족장 중 26명이 와이탕이 조약에 서명했으며, 그 후 8개월 동안 윌리엄 홉슨은 뉴질랜드 전역을 순회하며 서명을 추진해 500여 명이 넘는 부족장들로부터 서명을 받아 완성되었습니다.

영어와 마오리어로 만들어진 이 조약에 대해 마오리인들은 체결 당시 단지 토지 거래에 대한 내용으로만 이해하고 있었지만, 이후 내용의 부당함을 깨닫고 땅을 팔지 않거나 영국 정부의 통치를 거부하게 되며, 마오리족과 영국간의 토지를 둘러싼 대규모 분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결국 1860년대 두차례에 걸친 내전이 발생하게 되고, 무력 진압과 마오리족의 공동 소유 토지 상실 등으로 인해 1890년대에는 마오리인 소유의 토지가 뉴질랜드 전체 토지의 6분의 1 이하로 줄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한 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해 1975년에 와서 와이탕이 분쟁 재판소 (Waitangi Tribuna)가 설립되며, 이를 통해 당시 일부 토지들이 실제 반환되거나 배상이 이루어 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체계적인 검토 과정없이 이루어진 와이탕이 조약의 해석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최근까지 마오리인들과 정부간의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와이탕이 조약은 뉴질랜드 헌법의 근간이 되면서 건국 문서로 인정받고 있으며, 조약 원본은 뉴질랜드 국립기록보관소가 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와이탕이에서 처음 조약이 체결된 날은 국경일인 와이탕이 조약 기념일로 선포되었습니다.

와이탕이 조약은 당시 다른 식민지 본국과 토착민이 맺는 조약들과 달리 토지와 토착민의 권리를 일부 인정하면서 식민의 정당성을 의도한 점이 특징적이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식민지 본국과 토착민이 단일한 협정을 맺어 하나의 독립된 국가를 건국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1947년 영연방 국가들의 정치적 자율성을 보장한 웨스트민스터법 (Statute of Westminster Adoption Act)이 뉴질랜드 자치의회를 통과하면서 정식으로 영국의회로부터 분리되어 영국 여왕을 명목상 국가 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 독립국 뉴질랜드가 탄생하게 됩니다.
※ 참조 : 외교부 뉴질랜드,Wikipedia

※ 도움이 필요하시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SiS 신인수 유학원 오클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서울, 부산 지사로 연락해 주세요. 


b4550ecc7e56f9ce7ed3d6169651afb7_1599196579_3634.jpg

FIND 아이디ㆍ비밀번호찾기
도움이 필요하신 분은 신인수 유학원으로 연락해주세요.
  •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뉴질랜드 유학에 대한 모든 것, SiS 신인수 유학원으로 문의해주세요.

02-525-5570070-8254-5570